
가치 발견
폐 원단과 의류에 숨겨진 이야기와 가치를 발견합니다
각 원단에는 고유의 스토리가 숨겨져 있습니다. 데캄은 폐 원단과 의류 속에 숨겨진 이야기와 가치를 발굴하여, 이를 새로운 패션 소재로 재탄생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각 원단의 역사와 의미를 이해하고, 더욱 가치 있는 제품을 만들어 갑니다.
더 알아보기
소재 개발
누구나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원단으로 제작
발견된 가치는 실질적인 업사이클링 원단으로 변환됩니다. 재사용 가능하고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원단으로 재가공하여, 패션 산업에 신속하게 공급합니다. 이로써 환경을 생각하는 지속 가능한 패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더 알아보기
미닝테크
제조 이력 관리와 탄소 발생량 계산, 미닝테크 섬유
스오스에서 제공하는 미닝테크 시스템은 제조 이력을 철저히 관리하며, 원단의 탄소 발생량까지 계산합니다. 이를 통해 투명한 데이터 기반의 환경 관리가 가능하며, 패션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더 알아보기누적 탄소 상쇄량
누적 탄소 상쇄량은 Stitch Of Stories 플랫폼을 통해 업사이클 소재를 활용한 섬유제품들이, 기존의 비친환경적 생산방식과 비교하여 얼마나 많은 탄소 배출량을 줄였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이 수치는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시각화하여,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0kg
공지사항
패션 테크 스타트업 데캄, 울 니트 순환 웨어 브랜드로 2025년 패션 솔버톤 최우수상 수상
— 업사이클 소재·자체 개발 DPP 시스템 적용 실증 사업으로 패션업계의 문제 해결 방법 인정 받아 —
지속가능 패션 솔루션 기업 ㈜데캄(DEKAM)이 8월 12일 부산패션비즈센터에서 열린 ‘2025 패션 솔버톤(Fashion Solve-A-Thon)’ 본선에서 최우수상(부산대학교 총장상)을 수상했다.
수상작은 데캄이 오는 2025 F/W 시즌부터 런칭을 준비 중인 울 니트 순환 웨어 브랜드 ‘데캄 스튜디오(DEKAM STUDIO)’의 실증 사업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데캄이 자체 개발한 업사이클 소재와 DPP(디지털 제품여권) 시스템을 결합해 제품 소재 이력, 탄소 절감 효과, 업사이클링 과정을 소비자에게 투명하게 제공하는 지속가능 패션 모델을 구현했다.
‘패션 솔버톤’은 (사)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가 주최하며, 부산대학교 창업지원단과 동서대학교 RISE사업단이 협력하는 창업 경진 대회다.
패션산업의 현안과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 아이템 발굴을 목표로 하며, 심사를 통해 대상 1팀, 최우수상 2팀, 우수상 3팀, 장려상 2팀을 선정했다.
데캄 스튜디오는 ‘울 니트 순환 시스템’을 기반으로, 소비자가 사용 후 반납한 니트를 재가공·리메이크·업사이클링해 새로운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완전 순환형 모델을 제안했다.
여기에 MeaningTech DPP 플랫폼을 적용해 제품별 환경 데이터를 시각화·공유, 소비자 참여와 ESG 가치를 강화했다.
㈜데캄 관계자는 “이번 수상은 데캄 스튜디오가 추진하는 순환형 패션 모델이 기술력과 시장성을 동시에 인정받았다는 의미”라며
“25F/W 시즌 공식 런칭과 함께 ESG 기반의 지속가능 패션 생태계를 글로벌로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미닝테크 섬유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 창업 교육을 모집중입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https://sbsa.kr/eduinfo/?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67114793&t=board
“패션계에 선한 영향력을 전파하겠다”
도파민 과잉 시대, 늘 새롭고 신선하고 빠른 것을 요구하는 시대, 많이 보고 듣고 쓰면 둔해지게 마련. 그 어느 때보다도 새롭길 원하는 요즘이다.
'내가 먹는 것이 곧 나'라는 말에 이어 '내가 산(buy) 것이 곧 내'가 되는 시절이다. 늘 새로운 것을 요구하니 늘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야 하고 그 속도에 맞추지 못하는 것들은 선택받지 못하거나 한번 쓰고 버려질 수밖에 없다.
새로운 것이 만들어지는 속도에 비례해 버려지고 잊혀지는 것도 넘쳐난다.
지구를 생각하는 마음은 누구나 있고 지구를 위한다는 제품 역시 많지만 결정적인 순간에는 친환경보단 예쁜 것에 눈이 가고 구매 결정을 내린다.
게다가 모두가 친환경이라 한다. 하지만 모르겠다. 내가 산 물건이, 내가 행하는 소비가 도대체 얼마만큼 지구환경에 기여하는지를.
데캄 미닝테크텍스타일은 이러한 생각으로부터 출발했다. 생색내기 친환경 말고 '진짜' 친환경이 필요했다.
이야기가 있는 업사이클링
지난해 8월 PIS에 참여한 이민정 데캄 대표가 전시 기간동안 가장 많이 들은 말은 “고맙다”이다.
친환경 소재 제품을 만들려고 해도 어디서부터 알아봐야 할지 막막했다는 디자이너들이 활짝 웃으며 감사하다는 말을 전할 때마다 그들에게 도움이 되고 있음에 되려 감사한 마음이 들었다고 한다.
데캄은 2여 년의 구상 끝에 지난 2023년 11월 설립 이후, 올 8월에 정식 출사표를 낸 스타트업이다.
그러나 미닝테크텍스타일은 이 대표가 오가닉 소재 업체에서 나와 '메이크디'라는 가방 브랜드를 만든 12년 전부터 시작되고 있었다. 디자이너로서의 원단에 대한 고민과 친환경에 대한 사유, 미심쩍고 원에 차지 않는 시스템을 바꾸고 싶은 욕심과 패션업은 둘러싼 그녀의 모든 경험을 이어낸 것이 오늘의 미닝테크텍스타일이다.
디자이너는 예쁘게, 생산업체는 품질에만 집중해 제대로 된 제품을 제대로 된 가격으로 만들고 싶었다. ‘친환경 제품은 비싼데 안 예뻐’ ‘업사이클 재활용 제품인데 가격이 싸야지’ 하는 선입견도 바꾸고 싶었다.
Image
폐소방호스로 만든 스니커즈
쓰임을 다하거나 버려진 원단을 가치있게!
이것이 바로 미닝테크텍스타일(MTT, Meaning Tech Textile)의 핵심모토다. 8년 전 뉴욕 캡슐쇼에서 자신의 데님팬츠에 깃든 스토리를 자랑스레 늘어놓은 사람의 이야기에 적잖은 충격과 깊은 감동을 받은 이 대표는 이후 자연스레 친환경 세계에 한 걸음 더 가까워졌다. 막연한 친환경이 아닌 구체적인 친환경을 배우기 위해 택한 대학원 과정에서 폐소방호수 원단 관계자를 만났고 지금의 데캄이 만들어진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지금의 친환경은 너무 형식적이거나 명분뿐이거나 캠페인적 요소에만 머물고 있는 현실을 시스템화하여 생산자도 소비자도 만족하는 친환경을 만들고 싶었다.
상세페이지에 아무리 친환경에 대해 진심을 다해 기록해도 표현의 한계가 있고, 관련 인증을 획득하고 명시해도 어필되지 않는다.
버려진 원단을 단순히 제품에 녹여내기만 한다고 친환경 혹은 업사이클링이 아니다.
탄소 발생 줄임을 가시화하는 데 필요한 것들을 찾아나갔고 그 결과 원단의 이력에 주목했다.
단순히 원기능을 다해 버려진 원단을 재사용하는 것으로는 소비자를 설득할 수 없다. 제조이력 추적으로 얼마나 오래된 원단인지 그래서 탄소 발생 줄임에는 얼마나 기여하는지 그리고 켜켜히 쌓인 시간동안 어떤 스토리는 가졌는지.
그리하여 친환경 패션의 새로운 장르 ‘미닝테크텍스타일’이 세상에 나왔다. 디자이너가 필요로 하는 원단과 이곳저곳에서 버려지는 혹은 제대로 쓰이지 못하고 방치된 원단을 이어주는 시스템.
이 대표는 “MTT(Meaning Tech Textile)는 원단의 이력과 재활용 과정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패션테크를 활용하여 폐의류의 과거 이력을 QR 코드로 추적한다”라며 “이 시스템은 업사이클링 문화를 확산시키고 탄소 중립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라고 자신있게 말했다.
다르게 보기
미닝테크텍스타일은 결국 다르게 보기이다. 쓰임을 다하거나 쓰여지지 않고 버려진 원단에 담긴 이야기를 수집하고 아카이빙해 새롭게 탄생시키고자 한다. 현재 데캄의 핵심 비전을 실현하는 대표적인 사업은 ‘히어로 프로젝트’. 이 프로젝트는 폐소방호스와 소방복을 활용하여 가치소재(미닝)을 발굴하고 친환경 업사이클 원단을 개발하는 것으로 크게 3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째, 폐원단의 재가공이다. 폐소방호스와 소방복을 수거하여 새로운 업사이클 원단으로 재가공하고 다양한 브랜드와 디자이너에게 제공한다. 둘째, 가치 있는 소재 발굴. 이력을 QR코드로 추적하여 소재에 담긴 스토리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소방관의 가치와 용기를 존경하는 문화를 확산시킨다. 끝으로 탄소 발생량 관리를 목표로 제품 제작 과정에서의 탄소 발생량을 측정하고 관리하여 지속 가능 패션을 실현한다는 것이다.
이 모든 과정을 패션업계와 함께 하고자 이민정 대표는 데캄의 미닝테크시스템을 디자이너와 브랜드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업사이클 패션 플랫폼 ‘스티치 오브 스토리즈’를 만들어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금까지 친환경은 그저 폐자재의 의무적인 업사이클링에 있다면 데캄이 바라는 친환경은 상상력을 무한히 펼칠 수 있는 장이 되어 카피 걱정없이 제품을 만드는 디자이너, 가격 신경 안 쓰고 제품을 만드는 공장, 자신은 취향을 담뿍 담아낸 소비활동에 있다.
파타고니아같은 브랜드 100개를 만들어내겠다는 이민정 대표의 목표에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 같다.
2025-02-28 김희정 기자
http://www.fi.co.kr/main/view.asp?idx=85151